<아버지의 해방일지 – 정지아 / 창비>
137p.
고씨 집안사람 하나가 친일파였다. 친일로 제법 돈을 모았고, 일본에 헌납도 한 모양이었다. 해방 직후 면의 젊은 이들이 그를 당산나무 아래로 끌고 왔다. 쳐 죽이라는 고함이 터져 나왔다. 혈기왕성한 젊은이 하나가 낫을 들고 다가가자 누군가 빽 소리를 쳤다. 젊은이의 어머니였다. “그 어른 아니었으면 니가 시방 산 목심이 아니어야!”, 젊은이가 어린 시절 이질로 죽어갈 때 고씨가 병원비를 댄 것이다 사라들이 한마디씩 보태기 시작했다. “우리 애기 학벵 끌레가게 생겼는디 고씨 어른이 손을 써줬그마요.” 고씨 성토장이 이내 미담장으로 변했다. 쳐 죽이자고 했던 젊은이들도 그만 머쓱해져서 흐지부지 흩어지고 말았다. “민족이고 사상이고, 인심만 안 잃으면 난세에도 못심은 부지하는 것이여.”
228p.
나는 늘 그 이전의 날들이 사무치게 그리웠다. 아버지가 나를 태우고 미친 듯이 폐달을 밟던 어느 가을날이. 지각인 줄 알고 엉엉 울며 뛰어 들어간 교실에는 가능 로후의 햇살만 고요히 가라앉아 있었다. 낮잠에서 깨어난 나를 다음 날 아침이라고 원껏 곯린 아버지는 잔뜩 뿔이 난 내 손에 햇살처럼 고운 홍옥 한알을 건네주었다. 이가 시리도록 새콤한 홍옥을 베어 물며 동아로던 신작로에는 키큰 코스모스가 가을바람에 산들거렸다.
![](https://blog.kakaocdn.net/dn/EsYpX/btr3dTEsRO9/ilZp3ZAKLbxdTXJ3KFgn8K/img.png)
정지아 작가는 1965년 전라남도 구례에서 태어났다. 중앙대학교 문예 창작과를 나와 박사학위까지 받았다. 1990년 자신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빨치산의 딸'이라는 장편소설을 통해 데뷔했으며 이 작품은 당시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이적 표현물로 지정되어 판매금지 10년 후인 2005년에 재출간되었다. 2006년 '풍경'으로 제7회 이효석문학상, 2008년 '봄빛'으로 제14회 한무숙문학상, 2020년 '우리는 어디까지 알까'로 제14회 김유정문학상을 수상했다.
'일상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미경 – 당신의 아주 먼 섬 (1) | 2023.06.16 |
---|---|
고래 – 천명관 (0) | 2023.04.30 |
살고 싶다는 농담 – 허지웅 (0) | 2023.02.27 |
달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 – 김용택 (0) | 2023.01.15 |
책 읽는 삶 – C. S. 루이스 (0) | 202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