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HEALTH 12

The Serious Reality of Youth Addiction in Korea and the Path to Solutions

Today, many young people are exposed to various risks of addiction, including smartphones and the internet, drugs, and gambling. Youth addiction is not simply a personal problem—it is a critical issue that directly affects the future of society as a whole. As of 2025, the patterns and severity of youth addiction in Korea continue to evolve, with addiction types ranging from media to substances b..

청소년 중독 문제의 심각한 현실과 해결책

오늘날 많은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인터넷, 마약, 도박 등 다양한 중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청소년 중독 문제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미래와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입니다. 실제로 2025년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중독 양상과 심각성은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 미디어부터 약물에 이르기까지 중독 유형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청소년 중독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 사회 전체의 미래가 걸린 중대한 과제입니다. 2025년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직면한 중독의 실태는 어떨까요? 그리고 우리는 어떤 대책을 세워야 할까요? ♣ 스마트폰·인터넷 중독: 청소년 10명 중 4명이 위험군 ☞ 충격적인 통계만 10~19세 청소년의 42.6%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성인(22.4..

Nationwide Malaria Alert Issued in South Korea – What You Need to Know (August 2025)

♣ Alert OverviewOn August 19, 2025,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officially declared a nationwide malaria alert. This is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Plasmodium vivax (a malaria parasite) in mosquitoes collected from Yanggu County (Gangwon Province) during the last week of July.This is the first confirmation of infected mosquitoes in 2025, and it means there's an in..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 발령(2025.08.19)

올해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 확인, 전국적으로 ‘말라리아 경보’ 발령최근 말라리아 위험지역(특히 강원 양구군)에서 채집된 모기에서 말라리아 원충이 확인됨에 따라, 전국에 감염 경보가 내려졌습니다. 4~10월은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시기입니다. 최근 비가 많이 내리며 모기 개체수가 급격히 늘었고, 8월 13일 기준 인천, 경기, 강원 등 8개 지역에 이미 경보가 발령된 상태였습니다. 현재까지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작년보다 18.8% 감소한 373명(1.1.~8.13.)이지만, 모기 개체수와 감염 위험이 늘고 있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말라리아 위험지역 서울, 인천, 경기, 강원의 접경지역을 포함해 전국 49곳 지정서울시 13곳: 강동구, 강북구, 강서구,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 노원구, 도봉..

중국 치쿤구니야열 대유행 상황 및 국내 대응

2025년 여름, 중국 남부 광둥성에서 치쿤구니야열이 급속히 확산되어 현지 보건당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8월 초 기준 광둥성에서 누적 7,0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보고되었고, 광둥성 내 12개 이상의 도시로 퍼진 상태입니다. 특히 광둥성 포산(佛山)시에서 환자가 집중 발생하였으며, 인접 지역인 홍콩에서도 포산을 방문했던 12세 어린이가 첫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번 광둥성 유행은 중국 본토에서 기록된 가장 큰 규모의 치쿤구니야열 확산 사례로, 그간 중국에 이 바이러스에 대한 집단면역이 없어 빠른 전파가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행히 환자의 임상 경과는 대부분 경증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전체 환자의 95% 이상이 1주 이내 회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는 일부..

Avian Influenza H5N1: Silent Warning Signs of an Approaching Pandemic

IntroductionThere is a virus that global health authorities are watching closely: avian influenza A(H5N1). This virus no longer remains confined to birds—it has broadened its host range to mammals, and recorded cases of human infection are rising, raising alarm throughou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rgent Alerts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WHO’s Continuous SurveillanceThe World Health Orga..

조류인플루엔자 H5N1: 차기 팬데믹의 경고신호

최근 전 세계 보건당국이 주목하고 있는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바로 조류인플루엔자 A(H5N1)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더 이상 조류에만 국한되지 않고 포유류로 숙주 범위를 넓히며, 인간에게까지 감염되는 사례가 늘고 있어 국제사회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국제기구들의 긴급 경고WHO의 지속적인 감시 체계세계보건기구(WHO)는 A(H5) 계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팬데믹 발생 전 단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024년 3월부터는 전 세계 감시망(GISRS)에 포함시켜 인체 감염 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국제기구 공동 평가의 심각한 결론FAO, WOAH, WHO 세 기구가 공동으로 발표한 평가 보고서에서는 H5N1 바이러스의 포유류 전파 증가와 인간 감염 사례를 근거로 "직업적 노..

베트남 여행자를 위한 홍역 예방 가이드

최근 베트남에서 홍역이 크게 유행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베트남을 다녀온 여행객을 통해 홍역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홍역은 백신으로 충분히 예방 가능하지만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병이므로, 여행 전에 철저히 대비하고 여행 중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홍역의 기본 정보부터 최신 유행 현황, 예방접종, 여행 전후 유의사항, 그리고 현지와 국내의 의료기관 정보를 종합적으로 소개합니다. 홍역(Measles)은 홍역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발진성 호흡기 감염병으로,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로 전파됩니다​. 전염력이 매우 높아서 면역이 없는 사람이 환자와 접촉하면 90% 이상 감염될 정도로 쉽게 퍼집니다​. 홍역에 걸리면 10일 안팎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의 증상이 먼저 나타..

Impact and Response Strategies for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Why Is South Korea Focusing on Population Aging?South Korea has been undergoing a dramatic demographic shift in recent years. As of the end of 2024,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surpassed 20%, officially making the country a “super-aged society.” According to the UN standards, this marks a transition from an aging society (7%) and an aged socie..

대한민국 인구 고령화의 영향 및 대응 전략

대한민국은 왜 인구 고령화에 주목하는가?대한민국은 최근 몇 년 사이 인구 구조의 극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2024년 말 기준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20%를 넘어서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이는 유엔 기준으로 고령화 사회(7%), 고령 사회(14%) 단계를 지나 이제 국민 5명 중 1명이 노인인 국가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불과 200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0% 수준(2008년)였던 것이 약 16년 만에 두 배로 증가한 셈이다​. 인구 고령화란 한 사회에서 노인 인구의 비중이 높아지는 현상을 뜻하며, 이는 출산율 저하와 기대수명 연장의 복합적 결과로 나타난다. 인구 고령화 문제는 단순히 인구 구성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사회·경제 전반에 걸..